본 칼럼은 만화 『천막의 자두가르』의 무대가 되는 땅의 역사나 문화를 연재 형식으로 소개하는 칼럼입니다. 이번에는 제 14막까지의 줄거리를 정리하며 몽골 제국 건국까지의 여정을 해설하려 합니다.
| 제14막까지의 줄거리
13세기 초.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은 이란 동부의 투스. 투스에서 노예로 일하던 소녀 시타라는, 상냥한 여주인 파티마를 눈 앞에서 잃고 포로가 되어 몽골 제국의 본거지까지 끌려갑니다. 세상을 떠난 여주인의 이름 파티마로 개명한 시타라는 그 후 엉뚱한 일에 휘말려 몽골 제국 황제의 제6황후 퇴레게네를 알게 됩니다. 퇴레게네의 과거를 안 파티마는, 어떤 목적을 위해 퇴레게네와 협력하기로 합니다.
주인공 파티마의 인생을 크게 바꾼 몽골 제국은 어떻게 만들어진 나라일까요?
| 몽골 제국 건국까지의 여정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친 곳. 현재의 이름으로 말하자면 러시아 동남부, 몽골, 중국 북부 근처의 지역엔 거대한 고원이 펼쳐져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850년 전인 12세기 중반 무렵. 이 고원에 테무진이라는 인물이 태어납니다. 당시 고원에는 몽골, 메르키트, 나이만, 케레이트, 타타르, 오이라트 등의 유목민 세력이 각각 땅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몽골의 일원으로 태어난 테무진은 케레이트의 유력자 토오릴(칭호는 옹 칸)이나 금나라와 손을 잡고, 유목민을 차례차례 몽골 산하에 편입시키며 유목민의 리더가 되었습니다. 리더로서의 칭호는 칭기즈 칸. 테무진이 칭기즈 칸이 된 1206년이 바로 몽골 제국이 건국된 해입니다.
테무진과 다른 세력간의 전쟁, 특히 나이만과 메르키트와의 전쟁은 퇴레게네의 과거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역사서 『집사』, 『원사』 1, 『성무친정록』 2의 기록을 바탕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3 4
간지 | 나이만 | 메르키트 |
뱀의 해(1197) | 테무진에게 공격받음. | |
말의 해(1198) | 케레이트의 토오릴(옹 칸)에게 공격받음. | |
양의 해(1199) | 테무진과 토오릴(옹 칸)이 나이만을 공격함. | |
? | 퇴레게네: 메르키트의 유력자 다이르 우순(혹은 메르키트의 리더 토크토아 베키의 아들)과 결혼. | |
쥐의 해(1204) | 나이만의 리더 타이양 칸: 토크토아 베키와 손을 잡고 테무진과 싸움. 패배하여 사망. | 다이르 우순: 딸 쿨란을 테무진에게 바치고 항복. 그 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하고 사망. 메르키트의 리더 토크토아 베키: 타이양 칸과 손을 잡고 테무진과 싸움. 패배하여 도망침. |
? | 퇴레게네: 테무진의 삼남 오고타이와 결혼. | |
호랑이의 해(1206) | 테무진: 칭기즈 칸의 칭호를 얻음. 몽골 제국 건국. | |
용의 해(1208) | 타이양 칸의 아들 쿠츨루크: 토크토아 베키와 손을 잡고 칭기즈 칸과 싸움, 패배. 서료로 도망. | 토크토아 베키: 쿠츨루크와 손을 잡고 칭기즈 칸과 싸움, 패배하여 사망. 아들 쿠르트간은 서방으로 도망. |
쥐의 해(1216) | 쿠르트간: 테무진(칭기즈 칸)의 장남 주치에게 붙잡혀 처형. | |
호랑이의 해(1208) | 쿠츨루크: 서료를 침공한 몽골군에 의해 사망. |
만화 『천막의 자두가르』에서 그려진 퇴레게네의 회상은 양의 해(1199)와 호랑이의 해(1206) 사이에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그려졌습니다. 제11막은 퇴레게네가 다이르 우순에게 시집가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제12막에서 다이르 우순은 딸 쿨란을 테무진에게 바치며 항복하기로 다짐합니다.
항복 후, 다이르 우순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금방 진압되어 살해당합니다. 남겨진 퇴레게네는 테무진의 삼남 오고타이와 결혼해 살아가게 됩니다.
| 덤: 국가(울루스)란?
메르키트나 나이만 등 저마다의 세력과의 전쟁을 거치며 건국된 몽골 제국. 당시 몽골어로는 Yeke Mongɣol Ulus라고 합니다. 한편, 칭기즈 칸의 아들(주치, 차가타이, 오고타이, 툴루이)나 동생(테무게 등)의 속령도 각자의 울루스라고 불렸습니다.
이 울루스라는 단어에 대해, 역사/언어학자 블라디미르초프는,
'순수한 유목민인 몽골인은, 이 개념(=울루스)을 영토가 아닌 영민으로 이해했다. 즉, 울루스라는 말의 일차적인 의미는 "사람"이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역사학자는
'울루스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기초적 사회 집단이 아닌, 한 리더 밑에서 인위적으로 모인 (중략) 집단'
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울루스란, 한 명의 리더 밑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집단이라 해석한다면, 리더 칭기즈 칸이 다스리는 몽골 제국의 모든 국민과 칭기즈 칸의 아들이나 동생 하나하나가 리더로서 다스리는 영민 모두 울루스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울루스는 사람의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그 사람들이 살아가는 장소가 울루스의 리더의 영지가 됩니다. 단, 이 영지에 엄격한 국경선은 없고 현대의 영토보다 좀 더 유동적인 영역이었습니다. 또 사람의 집단이긴 하지만 현재 우리가 '국민'이나 '민족'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오르는 집단보다 더욱 다종다양하여 언어나 관습 등이 전부 다른 사람의 모임이었습니다.
현대인이 지금 사용하는 국경선, 국민, 민족 등의 개념이 확립된 건 몽골 제국 시대 이후의 일입니다.
'천막의 자두가르 > 공식 칼럼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막의 자두가르를 더욱 재미있게!』 몽골 제국의 군대 구조 (0) | 2024.12.23 |
---|---|
『천막의 자두가르를 더욱 재미있게!』 몽골 제국 미식 탐험 (0) | 2024.12.23 |
『천막의 자두가르를 더욱 재미있게!』 몽골 제국의 제왕家 (0) | 2024.12.23 |
『천막의 자두가르를 더욱 재미있게!』 몽골 제국의 신앙 (0) | 2024.12.23 |
『천막의 자두가르를 더욱 재미있게!』 몽골 제국 직업 도감 (0) | 2024.12.23 |